지역농업의 특성
- 천혜의 관광자원 보유 : 지리산, 섬진강, 온천, 사찰 등
- 지리산 부존자원 풍부 : 고소득 특산작목 육성 용이
- 지역특화작목 단지조성 : 오이, 산수유, 단감, 매실 등
- 도․농 친화형 농업육성 : 귀농인 정착지원, 농촌문화체험 등
- 체험관광 시대 관광거점 : 인근 1,000만명 국민 접근성 우수
일반현황
- 행정구역: 1읍 7면 155리 171마을
- 인 구: 24,761명(13,421호, `22.10.31.자.)
- 농 가: 4,807호(총가구 13,433호의 36%)
- 농업인구: 8,385명(전체인구 24,798의 34%)
- 경지면적: 6,060ha
계 | 작 물 별 재 배 면 적 | 호당평균 면 적 | 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벼 | 밀 | 시설원예 | 과 수 | 산수유 | 녹 차 | 기 타 | ||
6,060 | 2,026 | 210 | 197.4 | 366.5 | 273.3 | 89.2 | 2,897.6 | 1.0 |


2022년도 기상개황과 농작물 작황
- 평균기온: 13.8℃ (극최고 35.2, 극최저 –11.8)
- 연강수량: 862㎜
- 일조시간: 2,347시간/년(일평균 6.4시간)
- 무상일수: 168일(초상 10. 19., 만상 5. 3)
- 태풍내습
태풍내습에 대한내용 구분, 기간, 강수량, 최대풍속 우리군 피해 등으로 구분된다
구분 기간 강수량(㎜) 최대풍속(㎧) 우리군 피해 한남도 8.28.~9.6. 120.5 21.3 - - 기상특징
기상특징에 대한내용 구분, 1~3월, 4~5월, 6~8월, 9~11월의 특이기상, 피해행태로 구분된다
구분 1~3월 4~5월 6~8월 9~11월 특이기상 1월 한파 고온, 가뭄 고온, 다습 잦은 강풍 피해형태 맥류동해 밭작물 가뭄 세균성벼알마름병, 방제소홀 필지 먹노린재 발생↑ 흰잎마름병, 흑수ㆍ백수, 수발아 발생 - 온난화로 인한 맥류 생육재생기(2. 5.) 평년대비 2일 빠름(평년 2. 7.)
- 겨울철 한파에 따른 맥류 동해 피해 발생
- 폭염 및 가뭄으로 불임 증가, 출수기 태풍으로 흑수․백수․수발아 발생
- 농작물 작황
- 벼 이앙 후 기상여건이 좋아 생육은 전반적으로 양호하였고 출수는 전년과 비슷, 평년대비 다소 빨랐음(중만생종 8. 12.)
- 출수기 전후 연이은 태풍 통과로 벼 도복ㆍ흑수ㆍ백수피해 발생 등숙률 감소와 품질저하